1. 구약성서란
구약성서는 여호와 하나님에 대한 고대 이스라엘의 증언을 기록한 책입니다. 오늘날 유대교와 기독교의 경전이며 히브리 성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성경(Bible)이라는 말은 그리스어 ta biblica, 곧 ‘책들’이라는 뜻에서 나왔습니다. 구약성서는 수천 년의 기록 역사와 수많은 기록자를 간직하고 있으며 이스라엘 백성의 하나님에 관한 체험과 신앙이 녹아 있습니다. 따라서 구약성서는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적 사건을 신앙으로 해석하여 고백한 것으로써, 오늘날 기독교인에게 삶과 신앙에 관한 궁극적인 뜻을 밝혀주는 ‘역사와 신앙의 종합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대 이스라엘의 경험은 여러 세기에 걸쳐 이루어졌기 때문에 구약성서는 역사, 신앙, 도덕, 예배 의식, 설화, 전설, 격언과 교훈 등이 포함된 ‘신앙의 도서관’입니다. 이스라엘은 구약성서를 하나님에 대한 자신들의 경험에 관한, 그리고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공동체적 삶에 관한 최종 권위의 증언으로 받아들였습니다. 구약성서는 처음에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신앙을 기록, 전승, 보존한 글들이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여호와 신앙공동체에 의해 모아져서 성경이 되어 오늘날까지 수많은 이들의 신앙의 지침서가 되고 있습니다.
초기 청동기 EB Ⅰ EB Ⅱ EB Ⅲ
초기 청동기 Ⅳ/중기 청동기 Ⅰ
중기 청동기 Ⅱ MB ⅡA MB ⅡB MB ⅡC
후기 청동기 LB Ⅰ LB ⅡA LB ⅡB
철기 Iron Ⅰ Iron ⅡA Iron ⅡB Iron ⅡC
신-바벨론
페르시아
헬레니즘 |
3500-2250 B.C.E. 3500-3100 3100-2650 2650-2250
2250-1925 B.C.E. (아브라함?)
1925-1550 B.C.E. 1925-1700 1700-1600 (야곱?) 1600-1550
1550-1200 B.C.E. 1550-1400 1400-1300 1300-1200
1200-587/6 B.C.E. 1200-1000 1000-900 900-700 700-587/6
587/6-539 B.C.E.
539-332 B.C.E.
332-53 B.C.E. |
*B.C.E.=Before Common Era Philip J. King, Lawrence E. Stager. Life in Biblical Israel .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1. |
성서의 주요 연대 |
||
|
||
기원전 1250-1000 |
모세, 출애굽의 시대 |
초기 이스라엘 |
1000-970 |
다윗이 유다와 이스라엘을 통치하다 |
왕조시대 이스라엘
|
970-930 |
솔로몬이 첫 번째 성전을 건축하고, 다윗 왕조를 수립하다 |
|
930-722 |
이스라엘이 분리되어 여로보암이 북이스라엘을, 르호보암이 남유다를 통치하다 |
|
722 |
아시리아에 의해 북이스라엘 멸망 |
|
640-609 |
요시야가 남유다를 다스리며 개혁을 단행 |
|
598-587 |
바벨론에 의한 남유다의 멸망; 성전 파괴, 다윗 가문의 추방 |
|
540-330 |
페르시아 시기; 제2성전 건축(520년); 사제 계급의 복권; 다윗 가문의 멸망 |
포로시대 이스라엘 |
330-152 |
그리스(헬레니즘) 시기 |
그리스-로마 시대의 이스라엘 (신구약 중간기) |
152-63 |
하스모니아(마카비) 왕가의 통치 |
|
63 |
로마 지배가 시작되어 7백년간 이어지다 |
|
기원후 70 |
로마의 티투스에 의해 예루살렘 함락, 제2성전 파괴 |
|
180-200 |
미쉬나; 신약성서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시작되다 |
초기 교회 시대
|
132-135 |
두 번째 봉기, 바르 코흐바의 봉기, 로마에 의해 진압 |
|
313 |
기독교가 콘스탄틴 황제 아래에 의해 종교로 인정 |
|
380 |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다; 팔레스타인 탈무드 기록 |
|
428 |
팔레스타인에서 유대인 족장 축출 |
|
530 |
교회 법규 그리고 바벨론 탈무드가 기록되다 |
|
|
||
구약성서학의 주요 연대 |
||
|
||
1735 |
장 아스트룩, 오경에서 신 이름을 관찰 |
|
1805 |
드 베테가 신명기를 나머지 오경보다 늦은 연대로 추정 |
|
1822 |
장-프랑소아 샹폴리온이 이집트의 상형문자를 처음 해독 |
|
1860년대 |
그라프와 쿠에넨이 오경의 여러 ‘자료’를 연대순으로 정립; J, E, D, P |
|
1870년대 |
에누마 엘리쉬, 길가메시 이야기와 같은 아카드 문학 발견 |
|
1878 |
벨하우젠 「고대이스라엘 역사서설」에서 ‘문서가설’ 발표 |
|
1890-1930 |
궁켈이 짧은 성서구절의 문학 장르와 ‘삶의 자리’를 연구하는 양식비평을 창시 |
|
1920-1930 |
우가릿에서 가나안 본문들을 발견(1929년), 올브라이트가 고고학을 발전시킴 |
|
20세기 중반
|
독일의 폰 라트와 노트가 편집비평으로 성서 본문 연구, 미국의 올브라이트 학파가 미국 성서학계를 지배 |
|
1947-54 |
사해 두루마리(쿰란 사본) 발견 |
|
1960-
|
우가릿 문헌(셈어 계열)의 빛에서 이스라엘의 종교와 문학을 비교 연구, 사회학적 연구, 페미니스트 연구, 성서고고학, 수정주의자, 구약신학과 성서고고학 |
|
|
*존 콜린스, 「히브리성서 개론」, 한국기독교연구소, 26. |
- 팔레스타인(고대의 가나안)과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등이 있는 지역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