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독교 지성과 영성
  • 에르고니아
  • 신학의 대중화/ 사회화/ 교양화

출애굽기2

5. 모세를 부르다 모세가 광야의 한 산에서 거룩함을 경험한 출애굽기 3장의 이야기를 기억하라. 하나님께서는 모세의 이름을 부르셨다: 그를 불러 이르시되 모세야 모세야 하시매 출 3:4) 모세가 하나님(엘로힘)을 대면했을 때 그는 거룩한 땅에 서 있으므로 경외의 태도로서 그의 신발을 벗어야 했다. 모세의 이름을 부르신 하나님은 자신의 이름도 알려주신다. 모세의 이름을 부르고, 하나님의 이름을 알려주신다는 것은 무슨 뜻이 있는가? 관계 속에서의 이름 꽃 -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 2020. 12. 23.
1. 여호수아의 선언 여호수아의 선언 여호수아 24 14 그러므로 이제는 여호와를 경외하며 온전함과 진실함으로 그를 섬기라 너희의 조상들이 강 저쪽과 애굽에서 섬기던 신들을 치워 버리고 여호와만 섬기라 15 만일 여호와를 섬기는 것이 너희에게 좋지 않게 보이거든 너희 조상들이 강 저쪽에서 섬기던 신들이든지 또는 너희가 거주하는 땅에 있는 아모리 족속의 신들이든지 너희가 섬길 자를 오늘 택하라 오직 나와 내 집은 여호와를 섬기겠노라 하니 모세가 출애굽은 하고 여호수아는 가나안에 정착하는데 성공했다. 많은 민족들이 그들이 가나안에 정착하는데 반대하였지만 슬기롭고 용맹하게 정착했다. 그리고 12지파는 땅을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여호수아는 24장에서 세겜에 온 이스라엘을 모아놓고 마지막 연설을 한다. 세겜의 뜻은 언덕으로 예루살렘 .. 2020.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