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3 4. 다윗 시대의 고고학 다윗에 이르러서야 이스라엘은 국가의 면모를 갖추게 됩니다. 다윗은 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400년 역사의 왕조를 창건합니다. 시편 132편은 다윗 왕권이 지닌 성격을 잘 드러내 줍니다. "여호와께서 다윗에게 성실히 맹세하셨으니 변하지 아니하실지라. 이르시기를 네 몸의 소생을 네 왕위에 둘지라. 네 자손이 내 언약과 그들에게 교훈하는 내 증거를 지킬진대 그들의 후손도 영원히 네 왕위에 앉으리라 하셨도다(시 132:11-12)." 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24230 2020. 10. 5. 5. 역사로서의 성서(1) 역사로서의 성서를 이해하는데 조심해야할 주요한 두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첫째는, 성서를 일점일획의 오류도 없는 완벽한 역사책으로 읽는 시각입니다. 흔히 축자영감설이라 부르는 이런 시각은, 성서의 기록은 완전무결하기에 성서에 기록된 모든 사건들은 완벽한 근거가 있으며 어떠한 역사적 오류나 실수조차도 용납하지 않는다는 주장입니다. 둘째는 첫째의 주장과는 상반되는 시각으로서, 성서는 역사적인 객관성이 결여된 기록이기에 전혀 믿을만하지 않다는 시각입니다. 성서의 저자들은 신앙적으로 편향되었으며 자기들의 민족과 하나님에게만 지나치게 우호적인 시각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사건을 주관적으로 곡해하였다는 주장입니다. 이러한 두 가지 시각을 살펴보고 마지막에 균형 잡힌 시각에 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성서 기록 시기에 대한.. 2020. 7. 20. 2. 하나의 공동체, 평등한 사회 사사기에서 보여주는 12지파의 모습은 단일한 체제가 아닌 느슨한 연합체입니다. 12명의 사사들의 지도력은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 있었고 그것도 위급한 상황에서만 발휘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특정한 지파의 경계를 초월하는 공동체 의식이 있었습니다. 사사기 21:19에서 보듯이 연례적인 모임을 위해 실로에 모였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이름으로 일치된 행동을 보여줍니다(삼상 1:3; 2:19 참조). 또 이르되 보라 벧엘 북쪽 르보나 남쪽 벧엘에서 세겜으로 올라가는 큰 길 동쪽 실로에 매년 여호와의 명절이 있도다 하고 이것에 대한 대표적인 본문은 사사기 19-21에 나오는 기브아인들의 만행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한 레위인이 베냐민 사람들이 자신의 첩을 욕보여 죽이자 격분한 나머지 그녀의 시체를 열두 조각.. 2020. 6.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