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구약 일반18 17. 고대 이스라엘의 주변 세계(2) 메소포타미아 수메르인 수메르인은 성경에서 언급되지 않지만 고대 이스라엘에 많은 영향력을 끼쳤다. 수메르인의 존재 자체가 19세기 말엽에서야 겨우 확인되었으나 20세기 전반부에 수메르인의 거의 모든 주요 거주지가 발굴되고 수메르어가 기록된 많은 토판들이 발견되었다. 20세기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서 고대 근동에서 발달한 문명들은 문화적 성장이 절정에 달했던 최초의 수메르 문화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글쓰기, 도시 국가, 자본 축적, 도공의 활차(도르래), 각종 기념 건축물, 육십진법, 성문법, 학교와 원통 인장 등이 발달했다. 고대 근동의 다른 지역에 수메르가 미친 영향의 범위는 1970년대 중반에 수메르어와 셈어(에블라어)로 기록된 3천년기 중엽의 많은 토판기록이 발견된 고대 시리.. 2021. 2. 7. 16. 고대 이스라엘의 주변 세계(1) 구약성서에는 여러 민족과 나라들이 등장한다. 이들의 역사를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이스라엘의 주변나라들을 이해하는 것이 성서의 배경과 역사를 알아가는 매우 좋은 방법이다. 힉소스 힉소스는 이집트를 잠깐 지배한 아시아인들이었다. 제15왕조를 구성하는 제2중간기(기원전 1675-1552 무렵) 동안 이집트를 지배했다. 108년 동안 6명의 왕이 있었다. 힉소스 민족에 관한 주요한 참고자료는 마네토의 기록이다. 요세푸스와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3세기의 기독교 학자)에 의해 인용된 마네토와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에 의해 인용된 마네토의 자료가 부분적으로 남아있다. 힉소스의 언어는 북서 셈어에 속한 것 같다. 한때 대규모의 아모리인의 인구이동의 한 부분으로 ‘힉소스의 침입’이 있었다고 주장되었다. 최근에는 ‘아시아인.. 2021. 1. 27. 15. ‘고대 이스라엘’에 관한 최근의 탐구 ‘고대 이스라엘’에 관한 최근의 탐구 ‘고대 이스라엘’이라는 용어는 구약성서에 해당되는 이스라엘 민족 또는 구약성서의 기간(시기)을 뜻합니다. 1960년대에는 고대 이스라엘에 관해서 미국의 올브라이트 학파와 독일의 알트-노트 학파가 두 축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윌리엄 올브라이트, G. 라이트, 존 브라이트, 이가엘 야딘 등의 학자들은 ‘족장 시대’(아브라함, 야곱 등)가 성서의 묘사대로 상당히 역사적인 사실을 담고 있다고(‘문자적으로’ 정확한 것은 아닐 지라도) 보았으며 그 뒤에 이어지는 출애굽과 가나안 정복 전쟁 등도 사실로 받아들입니다. 이와 달리 알트-노트 학파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성서를 읽었으며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것이 아니라 평화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이주’하였다고 주장합니다... 2020. 12. 27. 14. 성서 수정주의자들 아마도 진정한 최소주의자들(minimalists)은 스스로를 수정주의자들(revisionists)이라고 부르는 학자들일 것입니다. 1980년대 초에 등장한 이들은 구약성서를 기원전 5-2세기 작품으로 보며, 구약성서에서 실제적인 역사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필립 데이비스 수정주의의 본격적인 시작은 데이비스(Philip R. Davies)가 1992년에 쓴 「‘고대 이스라엘’을 찾아서」(In Search of ‘Ancient Israel’)일 것입니다. 160여 쪽에 불과한 이 책에서 데이비스는 다른 민족과 고고학적으로 구분되는 ‘고대 이스라엘’ 민족은 없으며, 성서에서 묘사하는 ‘이스라엘’은 고고학으로 증명할 수 있는 이스라엘과는 다른 이스라엘이라고 주장합니다. 데이비스는 ‘이스라엘’을 세.. 2020. 12. 1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