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독교 지성과 영성
  • 에르고니아
  • 신학의 대중화/ 사회화/ 교양화

필립 데이비스2

14. 성서 수정주의자들 아마도 진정한 최소주의자들(minimalists)은 스스로를 수정주의자들(revisionists)이라고 부르는 학자들일 것입니다. 1980년대 초에 등장한 이들은 구약성서를 기원전 5-2세기 작품으로 보며, 구약성서에서 실제적인 역사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필립 데이비스 수정주의의 본격적인 시작은 데이비스(Philip R. Davies)가 1992년에 쓴 「‘고대 이스라엘’을 찾아서」(In Search of ‘Ancient Israel’)일 것입니다. 160여 쪽에 불과한 이 책에서 데이비스는 다른 민족과 고고학적으로 구분되는 ‘고대 이스라엘’ 민족은 없으며, 성서에서 묘사하는 ‘이스라엘’은 고고학으로 증명할 수 있는 이스라엘과는 다른 이스라엘이라고 주장합니다. 데이비스는 ‘이스라엘’을 세.. 2020. 12. 17.
5. 역사로서의 성서(1) 역사로서의 성서를 이해하는데 조심해야할 주요한 두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첫째는, 성서를 일점일획의 오류도 없는 완벽한 역사책으로 읽는 시각입니다. 흔히 축자영감설이라 부르는 이런 시각은, 성서의 기록은 완전무결하기에 성서에 기록된 모든 사건들은 완벽한 근거가 있으며 어떠한 역사적 오류나 실수조차도 용납하지 않는다는 주장입니다. 둘째는 첫째의 주장과는 상반되는 시각으로서, 성서는 역사적인 객관성이 결여된 기록이기에 전혀 믿을만하지 않다는 시각입니다. 성서의 저자들은 신앙적으로 편향되었으며 자기들의 민족과 하나님에게만 지나치게 우호적인 시각을 적용하여 객관적인 사건을 주관적으로 곡해하였다는 주장입니다. 이러한 두 가지 시각을 살펴보고 마지막에 균형 잡힌 시각에 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성서 기록 시기에 대한.. 2020. 7.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