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왕조시대 이스라엘4 4. 다윗 시대의 고고학 다윗에 이르러서야 이스라엘은 국가의 면모를 갖추게 됩니다. 다윗은 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400년 역사의 왕조를 창건합니다. 시편 132편은 다윗 왕권이 지닌 성격을 잘 드러내 줍니다. "여호와께서 다윗에게 성실히 맹세하셨으니 변하지 아니하실지라. 이르시기를 네 몸의 소생을 네 왕위에 둘지라. 네 자손이 내 언약과 그들에게 교훈하는 내 증거를 지킬진대 그들의 후손도 영원히 네 왕위에 앉으리라 하셨도다(시 132:11-12)." 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24230 2020. 10. 5. 3. 불운의 왕 사울 부유한 베냐민 지파 사람 기스의 아들 사울은 키가 크고 용모가 준수한 사람이었습니다(삼상 9장). 사울은 잃어버린 나귀를 찾아 숩(Zuph) 땅의 마을로 오게 되었습니다. 사무엘은 우연히 그 마을에서 희생 제사를 드리고 있었는데 그곳에서 사울을 만나 몇 가지 예언과 지시사항을 일러줍니다. 그 뒤에 사무엘은 미스바에 사람들을 모으고 제비를 뽑아 짐 가운데 몸을 숨기고 있던 사울을 왕으로 삼지만(삼상 10:17-25), 사울이 왕이 됨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무리들은 불만을 표출합니다. 통일 왕국 시대에 대한 추정 연대표 기원전 1100 1070 1050 1040 1030 1028 1012 1010 1003 970 930 사무엘 탄생? 사울의 탄생? 요나단의 탄생? 다윗의 탄생? 사울 통치의 시작? 다윗이 기.. 2020. 6. 25. 2. 하나의 공동체, 평등한 사회 사사기에서 보여주는 12지파의 모습은 단일한 체제가 아닌 느슨한 연합체입니다. 12명의 사사들의 지도력은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 있었고 그것도 위급한 상황에서만 발휘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특정한 지파의 경계를 초월하는 공동체 의식이 있었습니다. 사사기 21:19에서 보듯이 연례적인 모임을 위해 실로에 모였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이름으로 일치된 행동을 보여줍니다(삼상 1:3; 2:19 참조). 또 이르되 보라 벧엘 북쪽 르보나 남쪽 벧엘에서 세겜으로 올라가는 큰 길 동쪽 실로에 매년 여호와의 명절이 있도다 하고 이것에 대한 대표적인 본문은 사사기 19-21에 나오는 기브아인들의 만행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한 레위인이 베냐민 사람들이 자신의 첩을 욕보여 죽이자 격분한 나머지 그녀의 시체를 열두 조각.. 2020. 6. 24. 1. 왕정의 전주곡 기원전 1200년경부터 1050년경까지의 기간은 후기 청동기 시대가 끝나고 전기 철기 시대가 시작되는 시기로 성서에서는 ‘사사 시대’입니다. 사사기(공동번역에서는 판관기)는 이스라엘 민족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혼란과 변질을 담고 있습니다. 그들은 ‘사사들에게도 순종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다른 신들을 따라가 음행하며 여호와의 명령을 순종하던 그들의 조상들이 행하던 길에서 속히 치우쳐 떠나’버렸습니다(삿 2:17). 하나님은 회개하는 이들의 고통을 듣고 뜻을 돌이켜 그들을 다시 구원합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다시 ‘그 사사가 죽은 후에는 그들이 돌이켜 그들의 조상들보다 더욱 타락하여 다른 신들을 따라 섬기며 그들에게 절하고 그들의 행위와 패역한 길을 그치지 아니하’였습니다(삿 2:19). 되풀이되는 .. 2020. 6.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