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데버4 14. 성서 수정주의자들 아마도 진정한 최소주의자들(minimalists)은 스스로를 수정주의자들(revisionists)이라고 부르는 학자들일 것입니다. 1980년대 초에 등장한 이들은 구약성서를 기원전 5-2세기 작품으로 보며, 구약성서에서 실제적인 역사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필립 데이비스 수정주의의 본격적인 시작은 데이비스(Philip R. Davies)가 1992년에 쓴 「‘고대 이스라엘’을 찾아서」(In Search of ‘Ancient Israel’)일 것입니다. 160여 쪽에 불과한 이 책에서 데이비스는 다른 민족과 고고학적으로 구분되는 ‘고대 이스라엘’ 민족은 없으며, 성서에서 묘사하는 ‘이스라엘’은 고고학으로 증명할 수 있는 이스라엘과는 다른 이스라엘이라고 주장합니다. 데이비스는 ‘이스라엘’을 세.. 2020. 12. 17. 12. 성서고고학의 시작 성서고고학의 시작 고고학은 성서의 집필과 역사적인 신빙성에 관한 여러 가지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성서가 비교적 후대에 쓰였으며 내용의 대부분이 역사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과격한 비평가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것이 고고학의 초기 임무였습니다. 성서가 이스라엘 땅에 대한 현대적인 탐사가 진행되었던 19세기 말부터 이루어진 일련의 획기적인 발견과 수십 년에 걸쳐서 꾸준히 진행된 고고학 발굴과 해석이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대다수 학자들은 성경의 기록이 기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리하여 성서 원본이 그 속에 묘사된 여러 사건이 일어난 시기보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 문서로 기록되기는 했지만, 비교적 신뢰할 만한 기억에 토대를 둔 것이 분명해 보였습니.. 2020. 11. 27. 4. 문학으로서의 성서 성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기독교는 성서의 바탕 위에 서있으며 교회는 성서의 열매이고 그리스도인은 성서를 읽는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저마다의 다양한 환경과 문화 안에서 성서를 읽기에, 성서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는 결과를 달리합니다. 때때로 성서의 어떤 부분은 비그리스도인들이 보기에 역사적인 근거가 희박해 보이기도 하고, 그리스도인들 스스로도 과학적 실증주의의 물결 속에서 비논리적으로 보이는 성서 본문을 발견하는 상황에서 성서를 읽고 해석하기는 쉽지 않은 작업입니다. 그럼에도 이미 수천 년 전에 확정된 성서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나침반이 되어 삶의 방향과 의미를 제시하는 놀라움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성서를 읽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보통 큐티(QT, Qui.. 2020. 7. 7. 1. 왕정의 전주곡 기원전 1200년경부터 1050년경까지의 기간은 후기 청동기 시대가 끝나고 전기 철기 시대가 시작되는 시기로 성서에서는 ‘사사 시대’입니다. 사사기(공동번역에서는 판관기)는 이스라엘 민족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혼란과 변질을 담고 있습니다. 그들은 ‘사사들에게도 순종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다른 신들을 따라가 음행하며 여호와의 명령을 순종하던 그들의 조상들이 행하던 길에서 속히 치우쳐 떠나’버렸습니다(삿 2:17). 하나님은 회개하는 이들의 고통을 듣고 뜻을 돌이켜 그들을 다시 구원합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다시 ‘그 사사가 죽은 후에는 그들이 돌이켜 그들의 조상들보다 더욱 타락하여 다른 신들을 따라 섬기며 그들에게 절하고 그들의 행위와 패역한 길을 그치지 아니하’였습니다(삿 2:19). 되풀이되는 .. 2020. 6.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