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구약 일반18 13. 최대주의자와 최소주의자 최대주의자와 최소주의자 고고학과 관련하여 성서학자들의 의견을 살펴보겠습니다. 성서를 바라보는 시각이 훨씬 다양하겠으나 간략하게 다섯 개 정도로 나누어 보면, 첫째, 성서의 본문을 ‘문자적’으로 받아들이고 모든 성서외의 모든 증거들은 무시한다. 둘째, 성서의 본문을 ‘대부분’ 사실로 받아들이고 성서 외적인 증거들도 약간 고려한다. 셋째, 성서의 본문과 외적인 자료들을 모두 선입견 없이 접근한다. 넷째, 외적인 자료들에 의해 증명되지 않은 성서의 본문은 사실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다섯째, 성서 본문과 거기에 관련된 자료를 일단 거부한다. 왜냐하면 성서는 사실이 아니기 때문이다. 1980년대까지 고대 근동 지역의 고고학적 발굴을 토대로 성서의 역사성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학자들을 최대주의자(Maximal.. 2020. 12. 7. 12. 성서고고학의 시작 성서고고학의 시작 고고학은 성서의 집필과 역사적인 신빙성에 관한 여러 가지 논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성서가 비교적 후대에 쓰였으며 내용의 대부분이 역사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과격한 비평가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것이 고고학의 초기 임무였습니다. 성서가 이스라엘 땅에 대한 현대적인 탐사가 진행되었던 19세기 말부터 이루어진 일련의 획기적인 발견과 수십 년에 걸쳐서 꾸준히 진행된 고고학 발굴과 해석이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대다수 학자들은 성경의 기록이 기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리하여 성서 원본이 그 속에 묘사된 여러 사건이 일어난 시기보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 문서로 기록되기는 했지만, 비교적 신뢰할 만한 기억에 토대를 둔 것이 분명해 보였습니.. 2020. 11. 27. 11. 성서고고학이란 무엇인가 성서의 역사성을 조금 더 세밀하고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는 도구 가운데 하나가 바로 ‘고고학’입니다. 검증과 과학적 사고를 요구하는 오늘날, 고고학은 성서의 역사성을 이해하는데 탁월한 도구입니다. 고고학(archaeology)이라는 낱말은 헬라어 ‘아르카이오’(archaio)와 ‘로고스’(logos)를 합친 것으로, 옛 것들에 관한 사실들을 순서대로 정리하는 작업을 가리킵니다. 헬레니즘 시대에 이 낱말은 ‘골동품학’이나 ‘고대 전설들’ 또는 ‘역사’등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구약성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대 이집트,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고고학 연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또한 구약성서 속의 ‘고대 이스라엘’에 대한 연구는 그리스나 고대 제국들에 관한 이전의 고고학 발굴이나 연구 방법에 기초하였다.. 2020. 11. 20. 10. 성서, 교회, 사회 성서, 교회, 사회 교회는 성서를 받아들이고 오늘날까지 보존해서 그리스도인들에게 남겨주었습니다. 구약성서를 신학적으로 해석하는데 있어, 고대 이스라엘에게 첫 번째로 주어진 것과 교회에게 두 번째로 주어진 것이라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이는 성서의 해석이 오늘날 교회에 적용 가능해야한다는 말입니다. 성서를 열린 마음과 정직한 태도로 읽는 것은 특정한 교리나 교회(교단)의 이익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신학을 왜곡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고대 이스라엘에게 주어진 성서가 아무리 시대를 초월한 진리라 하더라도, 오늘날 교회의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 있다는 것도 인정해야합니다. 성서의 본문을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시도는 정직한 것이 아니라 무모한 것이며 이는 때때로 교회의 신앙에 심각한 문제를 만들어.. 2020. 10. 31.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