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독교 지성과 영성
  • 에르고니아
  • 신학의 대중화/ 사회화/ 교양화

구약성서/구약 일반18

2. 구약성서의 경전들 구약성서는 넓게는 히브리 성서, 곧 고대 이스라엘의 경전이라고 부릅니다. ‘구약’과 ‘신약’이라고 나누게 된 것은 예레미야서 31:31에서 유래했습니다.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 한 가지 기억할 것은 초기의 성서들은 오늘날의 성서와 같이 한권의 책(묶음)으로 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양피지나 파피루스에 기록된 여러 개의 두루마리 형태로 되어있었습니다. 초기의 책(코덱스)형태는 2세기부터이니 첫 기록하고 난 뒤 무려 1천년이 훨씬 지나서야 된 것입니다. 고대의 구약 성서가 오늘날의 책(코덱스)과는 전혀 다른 각각의 두루마리 모습으로 기록•보존되었다는 것이 구약성서를 이해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가장 오래된 유명한 히브리어 성경 사본은 기원후 895.. 2020. 6. 29.
1. 구약성서란 구약성서는 여호와 하나님에 대한 고대 이스라엘의 증언을 기록한 책입니다. 오늘날 유대교와 기독교의 경전이며 히브리 성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성경(Bible)이라는 말은 그리스어 ta biblica, 곧 ‘책들’이라는 뜻에서 나왔습니다. 구약성서는 수천 년의 기록 역사와 수많은 기록자를 간직하고 있으며 이스라엘 백성의 하나님에 관한 체험과 신앙이 녹아 있습니다. 따라서 구약성서는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적 사건을 신앙으로 해석하여 고백한 것으로써, 오늘날 기독교인에게 삶과 신앙에 관한 궁극적인 뜻을 밝혀주는 ‘역사와 신앙의 종합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고대 이스라엘의 경험은 여러 세기에 걸쳐 이루어졌기 때문에 구약성서는 역사, 신앙, 도덕, 예배 의식, 설화, 전설, 격언과 교훈 등이 포함된 ‘신앙의 도서.. 2020. 6.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