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독교 지성과 영성
  • 에르고니아
  • 신학의 대중화/ 사회화/ 교양화
구약성서/포로시대 이스라엘

2. 포로시대 자료들

by 에르고니아 2020. 7. 4.
반응형

성서 자료

포로시대에 관해서는 신학적으로는 폭넓은 시각이 있지만 포로민들의 실제 생활상에 관한 성서의 기록은 매우 빈약합니다.[각주:1] 이와는 달리 예루살렘 멸망과 포로사건으로 귀결된 역사적인 사건에 관한 자료상황은 비교적 양호한 편입니다. 포로로 잡혀간 과정에 관한 성서의 역사 기록으로는 열왕기하 23:29-25:21과 예레미야 39, 52:28-30, 역대기하 36장이 있습니다.

예레미야 27-29장과 에스겔서는 1차 포로 시기인 598/7년의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이 본문은 예레미야 40:1-43:7(왕하 25:27-30)이나 애가 1-5장과 함께 포로 시대의 초기 상황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562/1년 에윌 므로닥(Evil Merodach, 561-560)이 즉위하면서 여호야긴 왕이 석방됩니다. 성서는 여호야긴 왕이 포로로 잡혀 온지 37년째 곧 597년부터 에윌 므로닥이 공식적으로 즉위한 561년에 풀려난 것으로 기록합니다(왕하 25:27-30). 왕의 석방은 이스라엘 민족에게 희망적인 소식이었습니다. 여호야긴이 풀려 난 것은 공식적인 즉위 전날에 새로운 왕이 행한 특별사면에 해당하는 것이었습니다.[각주:2]

유다의 왕 여호야긴이 사로잡혀 간 지 삼십칠 년 곧 바벨론의 왕 에윌므로닥이 즉위한 원년 십이월 그 달 이십칠일에 유다의 왕 여호야긴을 옥에서 내놓아 그 머리를 들게 하고

 

시편 137편이나 에스겔 18, 이사야 40-55장과 같은 본문들은 포로시기에 바벨론 포로민들의 정신적 고통과 고난에 대해 묘사하고 예레미야 43:8-44:30은 이집트 포로민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정보를 줍니다. 539년에는 바벨론에 이어 페르시아 시대가 시작됨으로써 역사의 진행에 대한 보도가 에스라와 느헤미야서에서 다시 시작됩니다.

 

성서 외 자료

성서 이외에 참고할 만한 바벨론 시대에 대해 기록된 문서는 매우 적습니다. 바벨론의 국가 문서 저장고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아시리아 왕들과는 다르게 바벨론 왕들은 그들의 군사 원정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바벨론 연대기/ 정치와 군사적 업적에 대한 자료는 페르시아 시대에 기초한 베로수스(Berossus, 기원전 290년경의 신 벨의 제사장)가 지은 3권짜리 바벨론 연대기를 통해 알 수 있을 뿐입니다. 이 연대기들은 훼손되어 594-558, 556, 552-550, 544-540년이 공백을 보입니다.[각주:3]
  • 유대 고대사/ 요세푸스(Josephus)의 역사서는 586-63년의 역사를 채워주지만 요세푸스가 이용한 자료의 한계 때문에 유대인들의 생활의 많은 부분이 모호하거나 심하게는 혼란스럽기까지 합니다.
  • 느부갓네살의 쐐기문자 토판들/ 포로로 잡혀간 여호야긴을 언급하는 느부갓네살의 쐐기문자 토판들도 좋은 증거가 됩니다. 바벨론 연대기는 근본적으로 597년의 첫 포로 사건들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왕궁 문서 보관소에서 나오는 네 개의 설형문자 판이 추가되었는데, 이 판들은 유대의 왕 여호야긴과 그의 다섯 아들, 거명된 또 다른 다섯 명과 익명의 유대인 8명에게 주어진 기름 배급을 기록하고 있어 이로써 느부갓네살의 궁정에 직접 살았던 포로민들의 실제 삶을 알게 합니다. 이 장부는 유다사람 외에도 아스글론, 두로, 그발, 아르바드, 이집트, 메대 등의 사람들까지 언급합니다.
“10실라의 기름을 여호야긴 유다의 왕에게, 21/2의 기름을 유다의 왕의 아들들에게, 4실라를 유다 사람들 8명에게......”[각주:4]

이 문서 보관소는 통틀어 595-570년의 본문들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아쉽게도 4개의 판 가운데 하나에만 날짜가 찍혀있으며 그것은 592년 곧 예루살렘 멸망 이전의 시기입니다.

  • 페르시아 초기(531)에 속하는 법문서/ 바벨론의 많은 경제 증서들에서 유대인임을 알 수 있는 한줌의 이름을 찾아냈습니다. 페르시아 초기(531)에 속하는 법문서 하나가 눈길을 끄는데, 이 문서에서는 시파르(Sippar, 지금의 Abu Habbah. 이라크 중부)에 있는 한 유대인 가정의 딸이 남자 친구의 아버지 허락 없이 계속 사귄다면 노예가 될 것이라고 협박당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7명의 유대인이 532년과 498년의 두 개의 문서에 나옵니다.
  • 무라슈 문서(Murashu texts)/ 니푸르 지역에 있는 상가(商街) 무라슈의 문서 저장고에서 유대인들의 존재가 증명되었으며 그곳에 언급된 약 2,500명 가운데 70명의 신원이 유대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문서 저장고는 455-403, 곧 예루살렘 멸망 뒤 한 세기 지난 문서이므로 6세기 포로의 사회적 상황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추론해야 합니다.
  • 엘레판틴 파피루스/ 5세기 후반에 이집트 상부 나일강 섬에 있었던 유대인의 군사식민지에 대해 자세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엘레판틴문서가 있습니다. 이것은 1907-8년에 아스완 맞은편 나일강 섬 엘레판틴에서 발굴된 것으로, 엘레판틴은 유대인들이 포로후기 이집트에 끌려가 식민 군대의 군사기지가 있던 곳이며 엘레판틴 문서는 포로후기 문서입니다.
  • 사마리아 혹은 와디-달리예 문서/ 알렉산더 대제 치하의 사마리아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들
  • 제노 문서(Zeno papyri)/ 프톨레미 시대의 팔레스타인의 정치·경제 행정 문서로서 제노는 이집트에서 재무장관의 개인비서로 일하면서 2천개 이상의 문서를 남겼습니다.
  • 고고학/ 586년 바벨론에 의한 유다의 멸망은 유다의 여러 도시에서 발굴된 물품들의 고증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예루살렘, 라마라헬, 라기스, 게셀, 텔 엘헤시, 아랏, 텔 마소스). 엔게디는 582년에야 붕괴되었습니다. 과거에 바벨론의 정복과 연관시켰던 텔 벳미르심과 벳세메쉬의 붕괴는 새로운 견해에 따르면 701년 아시리아의 정복 때 파괴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새로 밝혀진 바에 따르면 벳술이 붕괴되었는지는 매우 불분명합니다. 텔 엘풀은 부분적으로 파괴되었으며 사람들은 그곳에 계속 살았습니다. 베냐민 북쪽의 도시들인 텔 엔나쉬베(미스바), 기브온과 벧엘은 멸망을 피할 수 있었고, 따라서 페르시아 시대 초기까지 그곳에 계속 사람들이 거주했습니다.[각주:5]

 

  1. 포로시대 유다 속주의 사회적 지위에 관한 학자들의 간략한 견해는 다음을 보라. David W. Baker, Bill T. Arnold eds, 강소라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9), 404-413. [본문으로]
  2. Anson F. Rainey and R. Steven Notley, 「성경 역사, 지리학, 고고학 아틀라스」, 강성열 역 (서울: 이레서원, 2010), 352. [본문으로]
  3. Rainer Albertz, 「포로시대의 이스라엘」, 배희숙 역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6), 76. [본문으로]
  4. James B. Pritchard, 「고대근동문학 선집」, 김구원 외 4인 역 (서울: CLC, 2016), 539. [본문으로]
  5. Rainer Albertz, 「포로시대의 이스라엘」, 배희숙 역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6), 106-109. [본문으로]

'구약성서 > 포로시대 이스라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바벨론과 페르시아  (0) 2020.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