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초기 이스라엘3 3. 수사학 구조주의 해석 www.freepik.com/photos/book'>Book 수사학 구조주의 해석 구약성서에 나타난 주제들과 양식들은 기원전 3천년 경부터 내려온 이집트 문학과 수메르·아카드의 메소포타미아 문학, 기원전 2천년경의 히타이트 문학, 후리안 문학, 가나안 문학 등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고대 근동의 문학에서는 반복, 평행과 교차의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반복은 역반복을, 평행은 동의와 반의 및 종합을, 그리고 교차에는 역순환과 원형구성을 포함합니다. 그리고 강조문은 반복과 대조와 비교로, 문장구조의 변화는 평행과 교차와 두문되풀이로, 그리고 문장들은 동위와 동격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 방법론은 모든 문학은 일정한 구조를 창출하며, 그 구조들은 그 특유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전제를 수.. 2021. 1. 17. 2. 창세기의 문학적 해석 특별히 창세기 1-3장은 신앙의 첫 관문이면서 수많은 영적 영감을 불어넣어줍니다. 우리의 관심은 문학이 사실과 의미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방법들입니다. 수잔 니디치의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창세기 1장 창세기 1장은 히브리 사람에 의해 쓰인 히브리어로 된 성경에 보존되어 나타나는 고대 이스라엘(히브리 민족)의 전통 문학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무질서, 생명 없음, 혼돈, 어두움의 상태에서 질서 있고 생명력 넘치는 세상, 곧 지리적 경계가 생겨나고 생명체가 활동하는 세상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묘사합니다. 1장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언어적 특징은 각 날에 이루어진 창조의 성과가 일정한 형식을 거쳐 표현되면서 만들어내는 고도의 반복성입니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있으라 하시니 ~이 있었고 보시기.. 2021. 1. 7. 1. 창조 이야기 성서의 첫 책인 창세기는 우주만물의 기원과 사람의 창조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창세기 1-11장은 원(原) 역사라고 불리는 부분으로서 역사적인 실증보다는 주로 그것이 말하고자하는 의미와 목적에 초점을 맞춰서 해석을 합니다. 우주의 창조를 다루는 부분이라 실제 발생 연대를 추측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을 몇 가지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1) 역사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신화 (2) 거의 비유지만 신화는 아닌 문헌 (3) 부분적으로 비유가 섞인 문헌 (4) 문자적 텍스트 이중에서 (1)과 (4)만 창세기 전체에 대해 일관된 해석방식을 보인다. 이 글에서는 창조 이야기를 문학, 신학, 과학의 관점에서 해석한 학자들의 의견을 살펴보겠습니다. 문학, 생태주의, 페미니즘 등과 연결해서 해석.. 2020. 6.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