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33 15. ‘고대 이스라엘’에 관한 최근의 탐구 ‘고대 이스라엘’에 관한 최근의 탐구 ‘고대 이스라엘’이라는 용어는 구약성서에 해당되는 이스라엘 민족 또는 구약성서의 기간(시기)을 뜻합니다. 1960년대에는 고대 이스라엘에 관해서 미국의 올브라이트 학파와 독일의 알트-노트 학파가 두 축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윌리엄 올브라이트, G. 라이트, 존 브라이트, 이가엘 야딘 등의 학자들은 ‘족장 시대’(아브라함, 야곱 등)가 성서의 묘사대로 상당히 역사적인 사실을 담고 있다고(‘문자적으로’ 정확한 것은 아닐 지라도) 보았으며 그 뒤에 이어지는 출애굽과 가나안 정복 전쟁 등도 사실로 받아들입니다. 이와 달리 알트-노트 학파는 비판적인 시각으로 성서를 읽었으며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정복’한 것이 아니라 평화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이주’하였다고 주장합니다... 2020. 12. 27. 5. 모세를 부르다 모세가 광야의 한 산에서 거룩함을 경험한 출애굽기 3장의 이야기를 기억하라. 하나님께서는 모세의 이름을 부르셨다: 그를 불러 이르시되 모세야 모세야 하시매 출 3:4) 모세가 하나님(엘로힘)을 대면했을 때 그는 거룩한 땅에 서 있으므로 경외의 태도로서 그의 신발을 벗어야 했다. 모세의 이름을 부르신 하나님은 자신의 이름도 알려주신다. 모세의 이름을 부르고, 하나님의 이름을 알려주신다는 것은 무슨 뜻이 있는가? 관계 속에서의 이름 꽃 -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 2020. 12. 23. 14. 성서 수정주의자들 아마도 진정한 최소주의자들(minimalists)은 스스로를 수정주의자들(revisionists)이라고 부르는 학자들일 것입니다. 1980년대 초에 등장한 이들은 구약성서를 기원전 5-2세기 작품으로 보며, 구약성서에서 실제적인 역사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필립 데이비스 수정주의의 본격적인 시작은 데이비스(Philip R. Davies)가 1992년에 쓴 「‘고대 이스라엘’을 찾아서」(In Search of ‘Ancient Israel’)일 것입니다. 160여 쪽에 불과한 이 책에서 데이비스는 다른 민족과 고고학적으로 구분되는 ‘고대 이스라엘’ 민족은 없으며, 성서에서 묘사하는 ‘이스라엘’은 고고학으로 증명할 수 있는 이스라엘과는 다른 이스라엘이라고 주장합니다. 데이비스는 ‘이스라엘’을 세.. 2020. 12. 17. 4. 겨울을 지내는 신앙 예측은 예측일 뿐이다 “우리는 감옥에서 죽어가고 있었지만 죽고 있었던 것이 아니다. 우리는 살아있다. 영원한 생명은 죽음을 통해 온다. 축복은 가난을 통해 오고 부활은 죽음에서부터 온다. 죽음을 통해서만 죽음의 세력을 극복한다. 이것이 생명의 역설이다.” (박형규 목사 글) 예측은 매력적입니다. 그것이 맞건 아니건 예측 신봉자가 있는 한 늘 장사가 되는 봉이 김선달의 강물이기 때문이빈다. 그래서 우리는 늘 예상하고 예측합니다. 사람의 운명처럼 과학적으로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믿는 분야들음 뭇무속, 점성술, 타로 등 이른바 초자연적의 영역으로 미래의 문을 열고 들어가려고 합니다. 우리의 앞날은 ㅇ떻게 될까요. 겨울의 매서움을 온 몸으로 맞이하는 자연이ㅡ 피조물들은 연약합니다. 하지만 그드른 이겨냅니다. 죽은.. 2020. 12. 13. 이전 1 2 3 4 5 ··· 9 다음 반응형